【K리그1】11월22일 대전 시티즌 vs 강원 FC K리그 생중계,스포츠분석,스포츠중계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 조회
- 0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K리그1】11월22일 대전 시티즌 vs 강원 FC K리그 생중계,스포츠분석,스포츠중계
11월 22일 K리그 1
대전 시티즌 강원 FC 중계
대전 시티즌 강원 FC 분석
✅ 대전
대전은 4-4-2를 기반으로 라인을 크게 무너지지 않게 유지하면서도, 중원에서의 템포 조절로 경기를 풀어가는 팀이다.
이순민과 김봉수는 미드필더 라인에서 왕성한 활동량과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공수 전환의 중심 축을 맡고 있다.
이 둘이 전방과 후방을 번갈아 연결해주기 때문에, 에르난데스와 주민규, 마사에게 자연스럽게 볼이 공급되는 구조가 만들어진다.
에르난데스는 측면에서 속도와 개인기를 활용해 수비수를 1대1로 흔들고, 안쪽으로 파고들며 슈팅 각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맡고 있다.
주민규는 박스 안에서 움직임과 위치 선정이 좋고, 크로스 상황에서 타이밍을 읽는 능력이 뛰어나 결정적인 찬스를 골로 연결하는 비율이 높은 스트라이커다.
마사는 2선에서 공간을 읽는 능력이 뛰어나, 하프스페이스와 박스 앞을 오가며 세컨 찬스를 노리고, 가을만 되면 퍼포먼스가 한층 올라가는 패턴을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대전은 중원에서 한 번 템포를 조절한 뒤, 에르난데스의 측면 돌파와 주민규·마사의 연계로 박스 앞에 숫자를 채우는 공격 패턴이 자연스럽게 반복되는 팀이다.
수비 전환에서도 이순민과 김봉수가 1차 차단 라인을 형성해 주기 때문에, 라인 전체가 무너지는 것보다는 미드필더 선에서 한 번 걸러내며 흐름을 끊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 강원
강원은 4-4-2를 사용하며, 측면과 전방의 활동량을 살려 빠른 전개를 노리는 팀이다.
김건희는 전방에서 몸싸움과 연계를 통해 롱볼의 기준점 역할을 하며, 박스 안에서 세컨볼과 크로스 타이밍을 노리는 움직임이 많은 스트라이커다.
김대원은 측면에서 볼을 잡았을 때 1대1 돌파와 컷인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며, 중거리 슈팅과 라스트 패스를 동시에 위협할 수 있는 자원이다.
서민우는 중원과 측면을 오가며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유형으로, 수비 가담과 전방 전개를 모두 요구받는 포지션에서 많은 활동량을 소화한다.
다만 강원은 전방과 측면의 스피드는 좋지만, 공을 잃었을 때 라인 간격이 벌어지는 구간에서 수비 밸런스가 흔들리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특히 미드필더 라인이 전진해 압박에 나선 뒤, 그 뒤 공간을 커버하는 움직임이 늦어지면 하프스페이스가 쉽게 노출되는 약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공격적으로 나오는 경기에서는 찬스를 많이 만들지만, 동시에 수비 전환이 늦어지며 실점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구조가 자주 연출된다.
결국 강원은 전방 에너지와 측면 공격력은 위협적이지만, 중원과 라인 간격 관리에서 기복이 있는 팀이라고 볼 수 있다.
✅ 프리뷰
이 경기는 중원에서 흐름을 설계하는 대전과, 전방과 측면의 스피드를 살리는 강원의 스타일이 정면으로 부딪히는 매치업이다.
대전은 이순민과 김봉수가 미드필더 라인에서 공수 전환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에르난데스·주민규·마사에게 꾸준히 볼을 공급해주는 구조를 기반으로 경기를 풀어갈 것이다.
이 순환 구조가 매끄럽게 돌아가기 시작하면, 에르난데스 쪽에서 한 번, 마사가 하프스페이스에서 한 번, 박스 안 주민규가 마무리하는 패턴이 자연스럽게 반복될 수 있다.
특히 가을만 되면 퍼포먼스가 확 끌어올려지는 마사의 특성상, 2선에서 침투 타이밍을 맞춰 들어가는 장면이 늘어나면 강원 수비 입장에서는 박스 앞과 박스 안을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부담이 커진다.
강원은 김건희와 김대원을 앞세워 전방과 측면에서 맞불을 놓겠지만, 공격적으로 나서는 순간마다 중원과 수비 라인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위험을 안고 들어간다.
대전의 중원은 이 간격이 벌어진 타이밍을 포착해, 짧은 패스 몇 번으로 전방까지 볼을 전개하고, 에르난데스의 돌파나 마사의 침투로 곧바로 슈팅 각을 만들 수 있는 여지가 크다.
강원 입장에서는 김대원의 개인기와 탈압박 능력을 살려 대전의 압박을 벗겨내야 하지만, 한 번 전개가 끊기면 곧바로 역습을 허용하는 장면으로 이어질 수 있어 리스크 관리가 관건이다.
반대로 대전은 홈경기라는 점을 활용해, 초반부터 중원에서 템포를 잡고 강원의 전방 압박을 받아낸 뒤, 공간이 열리는 타이밍마다 측면과 하프스페이스를 번갈아 공략하려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에르난데스가 1대1에서 수비를 제쳐내며 크로스 각을 만들고, 주민규가 니어·파 포스트를 오가며 타이밍을 잡는 장면이 만들어지면, 강원 수비는 중심을 잃기 쉽다.
또한 마사의 가을 퍼포먼스가 올라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세컨볼과 박스 앞 루즈볼 상황에서 한 번은 중거리 슈팅이나 세컨 찬스가 터질 여지가 충분하다.
강원이 반격을 시도할수록 라인을 올려야 하고, 그에 따라 뒷공간과 중원 간격이 더 벌어지기 때문에,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대전의 전개는 오히려 더 수월해질 수 있다.
반면 강원은 공격 시도는 많아질 수 있지만, 라인 간격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맞는 역습 한두 번이 실점으로 직결될 위험이 크다.
종합하면 이 경기는 중원 주도권과 전환의 완성도가 승부를 가를 가능성이 크고, 미드필더 라인의 안정감과 가을에 살아나는 마사의 공격 퍼포먼스를 가진 대전 쪽에 흐름이 더 기울어지는 그림이다.
그래서 대전이 홈에서 중원을 틀어 쥐고, 에르난데스·주민규·마사를 축으로 만들어 낸 찬스를 골로 연결하며 승부를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핵심 포인트
⭕ 대전은 이순민·김봉수의 안정적인 미드필더 퍼포먼스를 바탕으로, 에르난데스·주민규·마사에게 꾸준히 득점 기회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 강원은 전방 에너지와 측면 공격력은 위협적이지만, 공격적으로 나설수록 중원과 수비 라인 간격이 벌어지며 수비 밸런스가 깨질 위험을 안고 있다.
⭕ 가을에 접어들며 마사의 공격 퍼포먼스가 올라오는 패턴까지 고려하면, 홈 대전의 공격 완성도와 기대 득점에서 우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 중원 주도권과 라인 간격 관리, 그리고 가을에 살아나는 마사의 한 방까지 감안하면 이 경기는 대전이 홈에서 승부를 끊어낼 타이밍이다.
✅ 승부 예측 / 베팅 강도
[승/무/패] 대전 승 ⭐⭐⭐⭐ [강추]
[핸디] 핸디 승 ⭐⭐⭐ [추천]
[언더오버] 언더 ⭐⭐⭐ [추천]
✅ 마무리 코멘트
대전은 이순민과 김봉수가 중심을 잡아주는 중원 라인 덕분에, 에르난데스·주민규·마사로 이어지는 공격 루트가 자연스럽게 살아나는 팀이다.
강원도 전방과 측면에서 날카로운 장면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라인 간격이 벌어지는 구간에서 수비 밸런스가 무너질 여지가 크다는 점이 부담이다.
전술 구조와 시즌 흐름, 그리고 가을에 강해지는 마사의 특성까지 고려하면, 이번 경기는 대전이 홈에서 승리를 통해 흐름을 끊고 상위권 추격의 발판을 마련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